google-site-verification=1_KuN_R_ebNevAn88FeDHN744mYquqCC1YmNEedptgc google-site-verification=1_KuN_R_ebNevAn88FeDHN744mYquqCC1YmNEedptgc 청년도약계좌 5년간 5천만원. 출시일 내년 예정
본문 바로가기

일상 뉴스

청년도약계좌 5년간 5천만원. 출시일 내년 예정

728x90
반응형

 

이번 윤정부의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정부가 청년을 대상으로 내년 하반기에 

5년간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월 납임금의 3~6%를 정부가 보조+추가로 은행 이자가 붙는 형태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로 월 40만~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액의 3~6%를 보태주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가입자격]

- 만 19세~34세 청년

 - 개인소득 연 6천만원 이하,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

(1인 가구 기준 올해 중위소득은 월 194만원으로 중위소득의 180%는 월 350만원 수준입니다.)

 

가구 전체 소득으로 봤을 때 결혼한 신혼부부라면 586만원,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하지 않은 4인 가구의 청년의 경우 921만원이 넘으면 가입 가능

 

차등지원 기준과 금리 수준, 정부가 별도의 기여금 6%를 넣어주는 방식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세부 시행사항은 향후 국회 예산안 심의를 거쳐 내년 예산안이 확정되는 대로 금융권 협의 등을 거쳐 이르면 연말이나 내년 초에 확정·발표한다는 게 금융위 계획입니다.

 

금융위가 제시한 월 납입액(70만원)과 정부지원을 최대(6%)로 받는다고 하면 금리 연 3.5%(단리, 기존 대선 공약 기준), 5년 만기 월 70만원을 납입할 때 시중은행 적금보다 정부가 약 252만원 더 지원해주는 셈입니다.

 

60개월 납입 원금 4200만원에 비과세 이자 373만원까지 더하면 5년에 거의 5000만원에 가까운 돈을 모으게 되는 거죠.

 

 

자세한건 추우 상세 상품안내문이 나와야 알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 비과세, 복리라는 점이 눈에 들어오네요.

 

 고연봉자라 정부지원금이 없다하더라도 개설조건이 맞는다면 청년도약계좌는 만들어 두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가입을 염두하고 있어서 새로 바뀌는 부분은 바로 바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